본문 바로가기

알쓸전문지식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점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점

유절치에서 치관길이에 대한 근원심경의 비율은 영구치에서 보다 더 크며 유절치의 치근은 치관의 길이에 비해서 더 길고, 폭이 더 좁다. 유구치의 치관과 치근을 영구치의 경우와 비교하면 치경 1/3부위가 근원심적으로 더 좁다.

유절치 치관의 순 설면에 있어서 치경 1/3부위에 있는 치경융선과 설면결절은 매우 뚜렷하다.

유구치 치관에서 협면의 치경융선은 매우 풍융하고 특히 상 하악 제1유구치에서 더욱 풍융하다. 

유그치는 영구치보다 교합면의 면적이 협설쪽으로 더 좁다. 유구치의 치근은 영구치에 비해 더 길고 홀쭉하며 치근단을 향해 넓게 이개되어 있어 계승되는 영구치의 치관이 잘 맹출되도록 공간을 제공해 준다. 

유치의 색은 황백색 계통인 영구치에 비해 더 밝은 유백색이다. 

유치에서 수실의 치관크기에 대한 비율은 영구치에서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유치의 수각은 영구치에서보다 교합면쪽으로 더 높게 있어 법랑질과 근접해 있다. 

유치의 수실과 법랑질 사이에 존재하는 상아질 두께는 영구치의 상아질 두께보다 더 얇다. 

유치의 법랑질은 영구치의 법랑질보다 더 얇고 두께가 일률적이다. 

유구치의 식립상태는 영구치에 비해서 상하악 치아 모두가 교합평면에 대해 거의 수직에 가깝다. 

영구치로 교환되면서 상하악 절치가 순측으로 경사지므로 이때 이루는 치축각은 작아진다. 

유치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식립되어 있으므로 치아의 근심 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영구치 제1대구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면 근심 이동의 문제가 발생한다. 

'알쓸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보철의 용어  (0) 2022.11.30
치과 보철의 역사  (0) 2022.11.24
유치열  (0) 2022.11.23
대구치의 형태  (0) 2022.11.23
소구치의 형태  (0) 202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