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전문지식

유치와 영구치의 종류와 명칭

치아는 생후 6개월부터 맹출을 시작하는 20개의 유치와 6세부터 맹출 하는 32개의 영구치로 나뉜다.

치아의 명칭은 치아의 기능, 즉 자르고 뜯고 부수는 역할에 따라 절치, 견치, 구치로 불린다. 또한 형태에 따라 문(門)처럼 넓적한 절치를 문치라고 하고, 창의 머리처럼 생긴 견치를 창두치, 산봉우리가 2개 있는 것처럼 생긴 소구치를 쌍두치라고 부르기도 하며, 구치 중에서는 작은 것을 소구치, 큰 것을 대구치라고 한다. 절치와 견치를 전치부, 뒤쪽에 위치하는 소구치와 대구치를 구치부라 한다. 그리고 위치에 따라 정중선에서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붙여지기도 하며, 치아가 맹출 되는 시기로도 명명되는데, 상,하악 제1대구치를 6세에 맹출 된다 하여 6세구치, 상,하악 제2대구치를 12세에 맹출된다 하여 12세구치라고 부른다. 

유치는 크게 유절치, 유견치, 유구치로 나뉘고 총 20개의 치아가 있다.

1.유절치: 유중절치, 유측절치

2. 유견치

3. 유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

영구치는 크게 절치, 견치, 소구치, 대구치의 4종류로 총 32개의 치아가 있다. 

1. 절치 또는 문치: 중절치 또는 제 1문치, 측절치 또는 제 2문치

2. 견치. 창두치

3. 소구치. 전구치. 쌍두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4. 대구치: 제 1대구치.6세구치, 제2대구치.12세구치, 제3대구치.지치

개개의 치아를 명명할 때는 일반적으로 영구치와 유치의 구분, 상악과 하악의 구분, 좌, 우측 구분, 그리고 치아 명칭의 순서로 한다. 

예를 들면 영구치 상악 우측 제1대구치, 또는 유치 하악 좌측 유측 절치라고 한다. 

이 치아들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치조에 식립되어 일렬로 나란히 치열을 구성하는데, 이 치열을 교합면에서 볼 때 전치부에서는 절치의 절단연 및 견치의 첨두를, 구치부에서는 협측교두의 교두정을 연결하면 곡선이 생긴다. 이것을 치열궁이라고 하며 대체로 상악치아가 하악치아를 피개하고 있으므로 상악치열궁이 하악치열궁보다 크다. 

또한 입을 다물때, 상,하악 치아가 서로 접촉되는 상태를 교합이라고 하는데, 상,하악 치아가 교합될 때 접촉관계를 보면, 상악치아는 같은 이름의 하악치아와 원심에 있는 치아와 만나고, 하악치아는 같은 이름의 상악치아와 근심에 있는 치아와 만난다. 즉 1치아 대 2치아의 관계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악중절치 치관이 근원심경이 하악중절치에서 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악중절치와 상악 제 3대구치는 예외이다. 

치아는 이와 같이 정상적인 교합을 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고 저작하는일과 발음을 정확히 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한다. 또한 얼굴 모양을 형성하는 심미적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주위조직의 발달을 돕고 보호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쓸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치의 형태  (0) 2022.11.23
소구치의 형태  (0) 2022.11.23
영구치 형태에 대한 설명 2  (0) 2022.11.21
견치의 형태  (1) 2022.11.20
영구치 형태에 대한 설명  (0) 202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