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전문지식

영구치 형태에 대한 설명

절치

음식을 절단하는데 쓰이는 절치는 정중선으로부터 첫 번째와 두 번째 치아인 중절치와 측절치이며 상 하악의 좌 우 편측에 각각 2개씩 모두 8개가 있다. 이들은 치관의 외형이 끌 모양을 하고 있어 저작하기에 적당하도록 음식물을 잘게 자르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구강내의 앞부분에 위치하여 심미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치아이다. 

이 절치의 치관은 4개의 발달된 엽(lobe) 즉, 근심순측엽, 중앙순측엽, 원심순측엽 그리고 설측엽으로 구성되어 있고 순면, 설면, 근신면, 원심면의 4면과 절단연으로 되어 있다. 형태에 있어서 순면과 설면은 부정장방형이며, 인접면은 이등변삼각형이다. 또 치그는 단근치로 원추형을 하고 있으며 치관보다 약간 길고 치근단은 대개 원심방향으로 경사진 것이 많다. 

편측 상 하악 4개의 절치들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상악절치군은 하악에 비해서 치관의 근원심경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편이다.  상악절치군에서는 순 설면의 발육이 좋아 해부악적인 윤곽이 뚜렷하나 하악에서는 융선과 구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거의 평탄한 면을 가지고 있다. 

상악절치의 경우는 접촉부위의  위치가 근심과 원심에서 서로 다르지만 하악에서는 근 원심 모두 절단 가까이 위치하고 거의 같은 높이에 있다. 

근 원심면에서 볼 때 절단의 위치는 하악의 경우 순면이 설측으로 기울어져 있어 치근을 양분하는 선에 대하여 약간 설측에 위치하지만 상악에서는 근원심경의 이등분선에 일치하거나 약간 순측에 위치한다. 절단측에서 관찰할 때도 상악절치군은 순설경보다 근원심경이 더 크지만 하악은 반대로 순설경이 근원심경보다 더 크다. 하악절치들은 균등한 발육을 보이며 상악절치들에 비하여 기형이나 변형이 적의 없다. 

상악 중절치는 상악치열궁에서 정중선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하고 좌 우로 1개씩 있으며 절치 중 가장 크고 근원심경이 순설경보다 더 크다. 

절치의 순면

순면의 외형은 부정장방형이며 근심연, 원심연, 치경연, 절단연으로 외형선을 이루고 있고, 4면 중 가장 크다. 근심연은 치경부에서 근심측 접촉부(절단 1/3부위)까지 곧고 긴 선으로 되어 있고 원심연은 치경부에서 원심측 접촉부(절단 1/3과 중앙 1/3의 경계부위)까지 짧고 약간 오목한 선으로 되어있다. U자 모양의 치경연은 치근을 향하여 볼록하게 나온 곡선으로 되어 있으며, 절단연은 근심에서 원심을 향하여 치경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근심절단우각은 원심절단우각보다 절단측으로 더 높이 있다. 

순면은 일반적으로 풍융하고 3개의 순측엽, 즉 근심순측엽, 중아순측엽, 원심순측엽으로 융합되어 있으며, 그 중 중앙순측옆이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 각 엽에 있어 선상으로 가장 풍융한 곳을 순명융선이라 하며, 근심에 있는 것을 근심순명융선, 중앙에 있는 것을 중앙순면융선, 원심에 있는 것을 원심순명융선이라고 부른다. 중앙순명융선을 중심으로 순면은 근심반부와 원심반부로 나누어지는데, 이 때 근심반부는 원심반부에 비해 넓고 풍융하다. 또한 이들 3개의 엽이 가장 융합되는 경계부에는 선상의 약한 함몰부가 형성되는데, 이를 각각 근심순면구, 원심순면구라고 하며, 이들 엽의 상호융합으로 인하여 절단연상에 각 엽마다 나타나는 작은 결절을 절단결절이라 한다. 

 

'알쓸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구치의 형태  (0) 2022.11.23
유치와 영구치의 종류와 명칭  (0) 2022.11.21
영구치 형태에 대한 설명 2  (0) 2022.11.21
견치의 형태  (1) 2022.11.20
치아의 발생에 대해  (0) 202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