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국소의치의 치료계획 잔존치아의 수가 적고 국소의치를 위한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못하여 국소의치를 선택했을 때 그 수명이 오래가지 못할 경유에는 국소의치로 치료할 것인지, 혹은 총의치로 치료할 것인지르 결정하는데는 잔존자연치아의 수와 상태 외에 환자의 의견과 요구 그리고 경제적 사정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상,하악 6전치만 남아있는 경우 잔존자연치의 치아주위조직상태가 좋으면 국소의치로 구치를 수복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잔존자연치아의 주위조직 상태가 좋지 않고 임상적으로 치아동요가 심할 때 환자는 지금까지 상실된 치아의 경험에 비추어 잔존치아로 그 수명이 오래가지 못할 것 같고, 또 경제적 부담 등의 이유로 총의치로 치료받기를 원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환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 더보기
보철치료의 선택 보철치료의 선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고정성국소의치, 가철성국소의치, 총의치 혹은 overdenture 등 어떤 보철물이 특정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인가를 결정하는데는 여러가지 검사소견 중 몇가지 요소들을 특히 고려해야 합니다. 첫번째로 전신적 건강 및 구강상태 결손된 치아와 그 주위조직을 어떤 보철물로 회복시켜 주어야 할 것인가를 진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치아결손부위의 위치와 크기, 잔존치아의 치아주위조직의 건강도, 대합치의 상태 등 환자의 구강상태와 전신적 건강상태입니다. 만성질 환이나 소모성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복잡한 보철치료는 예후가 좋지 않기 때문이죠. 두번째로 환자의 연령 노년기에도 발치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경제적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젊은 연령에서는 발.. 더보기
치관수복의 종류- 전부수복 전부수복 치관 경조직의 손상 정도가 onlay나 1/2, 3/4, 4/5 crown 등으로는 수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전체 치면에 걸쳤을 때에는 치관 전체를 피복하는 수복물을 제작해야 하는 것을 전부수복이라 합니다. 전부수복에는 전부 주조관, resin 접착 주조관, 도치전장 주조관, 도재 용착 주조관, resin jacket crown, porcelain jacket crown, 계속치관, morison's crown, cast cusp crown, 무봉관 등이 있습니다. 1. 전부 주조관 치관 전체를 cover 하는 수복 방법으로 금합금 등 주조금속을 한 덩어리로 casting하여 제작하는 metal crown인데, 주로 외관에 잘 노출되지 않고 저작압력에 내구성이 강해야하는 구치에 적용합니다. 2 r.. 더보기
치관 수복의 종류- 일부수복 일부수복 흔히 충치치료를 하기 위해서 치과에서 치료를 받게 되면 여러가지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그중 일부만 치료하는 치관 수복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부수복과 전부수복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아볼것은 일부수복입니다. 1. 충전에 의한 수복 박충전 및 스폰지 충전이 있습니다. 엷은 박변 또는 스펀지 상태로 제조된 순도 높은 귀금속 편을 와동 내에 쌓으며 압박해서 cavity 내를 한 덩어리로 충전하는 방법이며, 여기에 소요되는 foil은 금박이나 gold sponge 또는 백금박(platinum poil)등이 있습니다. 2. 연성 또는 성형 충전 2종의 재료를 혼합가공해서 처음에는 연해서 마음대로 그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서 operative cavity를 filling하고 일정한 .. 더보기
치과보철의 용어 치과보철이란 무엇일까요? 치아 및 그와 관련된 구강조직이 결손되었을 때 이를 인공적인 대용물로 보충해서 손상된 기능과 외관 및 건강을 회복시켜주는 장치물을 말합니다. 치과보철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첫번째, 금관(인공치관, 치관보철)-크라운(crown): 자연치의 치관이 어떤 원인으로 결손되었을 때 인공적이인 재료로 회복 또는 수복시켜주는 보철물입니다. 이 재료는 일반적으로 금합금, 도재, 레진 및 이들의 복합재료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치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금니, 도자기 등으로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보철물입니다. 두번째, 가공의치- bridge, fixed partial denture prosthodontics :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자연치아가 결손 되.. 더보기
치과 보철의 역사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건강은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부터 시작하는데 음식물 섭취는 구강내 치아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복의 하나라고 여길만큼 중요한 치아관리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죠. 그 결과는 발치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발치 이후에는 치과에 가서 보철물로 치아를 대신하게 됩니다. 자, 여기서 보철이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치과 보철의 역사는 기원 전 지금의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아시아로부터 베링 해협을 건너 정착한 후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북 남미 대륙의 문명과 함께 시작됩니다. 이 들의 중심 문명은 지금의 중앙 멕시코 지역에 거주했던 호전적인 민족의 아즈텍(Aztecs)문명과 현재의 과테말라와 온두라스, 유카탄 반도.. 더보기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점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점 유절치에서 치관길이에 대한 근원심경의 비율은 영구치에서 보다 더 크며 유절치의 치근은 치관의 길이에 비해서 더 길고, 폭이 더 좁다. 유구치의 치관과 치근을 영구치의 경우와 비교하면 치경 1/3부위가 근원심적으로 더 좁다. 유절치 치관의 순 설면에 있어서 치경 1/3부위에 있는 치경융선과 설면결절은 매우 뚜렷하다. 유구치 치관에서 협면의 치경융선은 매우 풍융하고 특히 상 하악 제1유구치에서 더욱 풍융하다. 유그치는 영구치보다 교합면의 면적이 협설쪽으로 더 좁다. 유구치의 치근은 영구치에 비해 더 길고 홀쭉하며 치근단을 향해 넓게 이개되어 있어 계승되는 영구치의 치관이 잘 맹출되도록 공간을 제공해 준다. 유치의 색은 황백색 계통인 영구치에 비해 더 밝은 유백색이다. 유치에서 수실의 .. 더보기
유치열 유치열은 20개의 유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악의 정중선을 중심으로 좌우 각각 2개의 유절치, 1개의 유견치, 그리고 2개의 유구치가 있다. 이 유치들은 나중에 탈락되어서 영구치 중 계승치로 교체되는데, 이것을 탈락이라 한다. 탈락은 유치들의 치근이 완전히 완성되고 치근첨공(apical foramen)이 형성된 다음의 1~2년 후인 7세부터 시작하여 12세까지 진행된다. 유치의 치근흡수는 치근단에서보터 시작하여 치관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치근이 모두 흡수되면 지지를 상실하게 되어 치조골에서 유치가 탈락하게 된다. 유치 중 가장 먼저 맹출하는 치아는 유중절치이고 유측절치, 제1유구치, 유견치, 제2유구치의 순으로 맹출하는데 영구치열과 마찬가지로 하악치아가 상악치아보다 먼저 맹출한다. 유구치는 후에 영구치의 소.. 더보기